반응형

인터렉션 법칙

 

1. 힉의 법칙

- 정보가 증가할수록 우리 뇌는 알아서 선택지를 categorizing 하거나 grouping하는 방식으로 사고

- 그렇기 때문에 뇌의 인지 process 처럼 동일한 인터랙션을 적용하면 빠른 선택이 가능

 

 

2. 피츠의 법칙

- 인간의 행동에 대해 속도와 정확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기본적인 법칙

- 목표물의 크기가 작을수록 목표에 도달하는데 속도와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적당한 크기의 버튼을 제공해야 함

 

3. 마법의 숫자 7

- 1956년 심리학자 George Miller가 소개한 청킹 이론

- 적은 정보로 쉬운 판단을 유도해야 함

 

4. 복잡성 보존의 법칙

- 사용자가 느끼는 편리함 -> 엔지니어와 디자이너의 공수

- 훌륭한 UX는 그 복잡성을 시스템이 맡지만 불편한 UX는 유저에게 전가

 

5. 포타요케의 법칙

- 실수방지: 애초에 실수를 하지 않도록 제한

- 오류알림: 오류가 있을 시 바로 알림

 

6. 피드백과 피드포워드

- 오류를 일으킨 경우 즉각적이고 명백한 피드백을 줘야 잘못된 동작이 반복되지 않음

- 동작하기 전 무슨 일이 벌어질지 예측하게 해 확신을 갖고 동작할 수 있게 함

 

7. 어포던스

- 이미지의 선택과 허용 가능한 상호 작용 양쪽에서 일반적인 사용법 따름

- 원하는 행동을 묘사하는 직접적인 단어 사용

- 메타포를 사용

- 인터페이스 학습후 다른 부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같은 컨셉 모델을 따름

반응형

'WEB > UI 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4차 산업 혁명과 UX  (0) 2021.03.25
UI 디자인과 Interaction 디자인 법칙 #1  (0) 2021.03.25
UX 디자인 기본 개념  (0) 2021.03.25
반응형


/* 자바에서 변수란?
 *  1. 변수는 자료형 값을 저장하는 장소를 뜻한다. 변수 선언후 최초값을 저장하는 것을 변수 초기화라고 한다.
 *  변수에는 단 한개의 값만 저장하는 자료구조이다. 가장 마지막에 저장된 값만 저장되고 그 이전값은 모두 사라진다.
 * 
 * 자바 변수 선언법 )
 *  자료형 변수명;
 *  ;(세미콜론) : 한문장 끝을 뜻함. 반드시 코드해야한다. 
 */

 

// class 키워드(예약어 : 약속된 명령어)로 클래스명을 정의하고 클래스명 첫글자는 관례적으로 영문대문자로 꼭 해한다.

// 변수 선언후 초기화, =은 대입(할당)연산자 => 우측의 값을 좌측변수에 대입/할당 한다.

// +는 덧셈연산, 1증가

반응형

'Programming Language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AVA #5  (0) 2020.03.27
JAVA #4  (0) 2020.03.27
JAVA #3  (0) 2020.03.27
Java #1  (0) 2020.03.27
JAVA #0  (0) 2020.03.21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