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비어있는 zip 파일 준비

 

 

RETN에 커서를 두고 더블클릭을 하면

 

이런 화면이 뜬다.

 

이렇게 칸에다가 mov eax, 1을 하고 Assemble을 눌러준다. 

 

그러면

 

 

빨간줄이 표시 되면서 넣어진다.

 

MOV EAX, 1 은 EAX라는 공간에 1이라는 값을 넣어라 라는 명령이다.

 

여기서 MOV는 연산자가 되는것이고, EAX, 1은 피연산자가 되는것이다.

 


그래서 EAX가 뭐야?

- EAX 레지스터는 산술, 논리, 연산을 수행하며 함수의 반환값이 이 레지스터에 저장!

덧셈, 나눗셈, 곱셈 등의 명령은 모두 EAX레지스터를 사용한다!

함수의 반환값이 EAX 레지스터에 저장되므로 호출 함수의 성공 여부 또는 실패 여부를 쉽게 알아볼수 있다!

 


실행하려면

메뉴바에 있는 이 작은 모양 클릭!!!

 

EAX값이 1로 바꿔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

반응형

'Programming Language > assembly languag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어셈블리어 개념  (0) 2020.03.23
반응형

어셈블리어 : 기계어와 일대일 대응이 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저급 언어이다.

어셈블리어는 컴퓨터 구조에 따라 사용하는 기계어가 다르다.

 

기계어는 실제로 컴퓨터의 cpu가 읽어서 실행할 수 있는  0과 1로 이루어진 명령어의 조합이다. 이러한 각 명령어에 대해 사람이 알아보기 쉬운 니모닉 기호를 정해 사람이 좀 더 쉽게 컴퓨터의 행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어셈블리 언어이다.

 

어셈블러 : 니모닉 기호를 opcode로 변환함.

기계어를 어셈블리어로 바꾸는 것은 역어셈블러라고 한다.

 

ex )

10110000 01100001

 

=> mov al, 061h

 


ollydbg 다운로드

http://www.ollydbg.de/

 

OllyDbg v1.10

 

www.ollydbg.de

UDD, plugins path 설정후 레나 튜토리얼 1번 다운후 

ollydbg.ini 추가

반응형

'Programming Language > assembly languag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mov  (0) 2020.03.23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