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(3)
-
파이썬 문법 #4
함수와 람다 함수 - 함수(Function)란 특정한 작업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 놓은 것을 의미합니다. - 함수를 사용하면 불필요한 소스코드의 반복을 줄일 수 있습니다. 함수의 종류 - 내장 함수: 파이썬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함수 - 사용자 정의 함수: 개발자가 직접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함수 함수 - 함수를 사용하면 소스코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. - 매개변수 : 함수 내부에서 용할 변수 - 반환 값: 함수에서 처리 된 결과를 반환 def 함수명(매개변수): 실행할 소스코드 return 반환 값 더하기 함수 예시 - 더하기 함수 예시 1) def add(a, b): return a + b print(add(3, 7)) # 10 - 더하기 함수 예시 2) def add(a, b): print(..
2020.11.19 -
파이썬 문법 #2
문자열 자료형 - 문자열 변수를 초기화할 때는 큰따옴표(")나 작은 따옴표(')를 이용합니다. - 문자열 안에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가 포함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- 전체 문자열을 큰따옴표로 구성하는 경우, 내부적으로 작은따옴표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. - 전체 문자열을 작은따옴표로 구성하는 경우, 내부적으로 큰따옴표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. - 혹은 백슬래시(\)를 사용하면,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를 원하는 만큼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. data = 'Hello World' print(data) # Hello World data = "Don't you know \"Python\"" print(data) # Don't you know "Python"? 문자열 연산 - 문자열 변수에 덧셈(+)을 이용하면 문..
2020.11.18 -
파이썬 문법 #1
자료형 - 모든 프로그래밍은 결국 데이터를 다루는 행위입니다. - 파이썬의 자료형으로는 정수형, 실수형, 복소수형, 문자열, 리스트, 튜플, 사전 등이 있습니다. 정수형 - 정수형(Integer)은 정수를 다루는 자료형입니다. # 양의 정수 a = 1000 print(a) # 1000 # 음의 정수 a = -7 print(a) # -7 # 0 a = 0 print(a) # 0 실수형 - 실수형(Real Number)는 소수점 아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 자료형입니다. # 양의 실수 a = 157.93 print(a) # 157.93 # 음의 실수 a = -1837.2 print(a) # -1837.2 # 소수부가 0일 때 0을 생략 a = 5. print(a) # 5.0 # 정수부가 0일 때 0을 생략 ..
2020.11.18